NCS 5

유용한 용어 및 띄어쓰기 공부 4일차

[맞춤법 편] 핼쑥하다 핼쓱하다 ex) 못본 사이에 핼쑥해졌다 o 귀띔 귀뜸 ex) 귀띔이라도 해주지 그랬어 o 아래 옷과 대립되는 위에 입는 옷을 가리키는 말: 윗옷 웃옷 ex) 바지랑 윗옷의 짝이 맞다 o 날름 낼름 ex) 혀를 날름 내밀었다 o [사자성어 편] 백절불굴( 百折不屈 ) : 어떠한 난관에도 결코 굽히지 않음 (百 100, 折 꺾다, 不 아니다, 屈 굽다) 촌철살인( 寸鐵殺人 ) : 간단한 말로 남을 감동시키거나 약점을 찌를 수 있음 (寸 마디, 鐵 쇠, 殺 죽일, 人 사람) 우이독경( 牛耳讀經 ) :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함 (牛 소, 耳 귀, 讀 읽다, 經 지날) 귤화위지( 橘化爲枳 ) : 환경에 따라 사람이나 사물의 성질이 변함 (橘 귤나무, 化 되다, 爲 하다, ..

유용한 용어 및 띄어쓰기 공부 3일차

[맞춤법 편] 여남은 o 여라문 x :열 조금 넘는 수의 ex) 사람이 여남은밖에 모이지 않았다 o 의뭉스러운 o 으뭉스러운 x :보기에 겉으로는 어리석어 보이나 속으로는 엉큼한 데가 있는 것을 뜻하는 단어 ex) 일부러 의뭉스러운 바보짓을 하다. [사자성어 편] 무골호인( 無骨好人 ) : 두루뭉술하고 순하여 남의 비위를 다 맞추는 사람 (無 없다, 骨 뼈가, 好 좋다, 人 사람 ) 오매불망( 寤寐不忘 ) : 자나 깨나 잊지 못함 (寤 잠 깰, 寐 잠 잘, 不 아니할, 忘 잊다) 원형이정( 元亨利貞 ) : 하늘이 갖추고 있는 네 가지 덕 (元 으뜸, 亨 형통할, 利 이로울, 貞 곧을 / 네 가지 덕: 어질다, 예절, 선량함, 지혜) 누란지위( 累卵之危 ) : 층층이 쌓아 놓은 알과 같이 매우 위태로운 형..

유용한 용어 및 띄어쓰기 공부 2일차

[맞춤법 편] 누누이 o 빽빽이 간간이 짬짬이 누누히 x 똬리 o 또아리 x : 둥글게 빙빙 틀어 놓은 것. 또는 그런 모양. 잊힌 o 잊혀진 x ex) 잊힌 계절이 돌아왔다 o 서슴지 o 서슴치 x ex) 그는 서슴지 않는다 o 치고받고 o 치고박고 x ex) 둘은 매일 치고받고 싸우기 바쁘다 o [사자성어 편] 자승자박( 自繩自縛 ) : 자신의 언행 때문에 스스로 곤란하게 됨, 제 꾀에 제가 넘어간다 (自 스스로, 繩 묶다, 自 스스로, 縛 얽다) 절차탁마( 切磋琢磨 ) : 부지런히 학문과 덕행을 닦음 (切 끊다, 磋 갈다, 琢 다듬다, 磨 갈다) 사근취원( 捨近取遠 ) : 일의 순서나 차례를 바꾸어서 함, 가까운 것을 버리고 먼 것을 취함 (捨 버릴, 近 가까울, 取 가지다, 遠 멀다) 천사만량( ..

유용한 용어 및 띄어쓰기 공부 1일차

[맞춤법 편] 엉겁결 o 엉겹결 x 느지막 o 느즈막 x -구먼 o -구만 x ex) 새로 장만한 차가 참 크구먼 o 새로 장만한 차가 참 크구만 x 고즈넉이 o 고즈넉히 x - 밤새다 / 밤새우다 차이 밤새다 => 자연 ex) 밤새도록 눈이 왔다 밤새우다 => 의지 ex) 밤새우고 나니 힘들다 - 껍데기 / 껍질 차이 껍데기 => 딱딱,단단 ex) 조개 껍데기 껍질 =>그 반대 ex) 귤 껍질 [사자성어 편] 격물치지( 格物致知 ) :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여 지식을 완전하게 함 (格 격식, 物 만물, 致 도달하다, 知 알다) 감탄고토( 甘呑苦吐 ) : 자신의 비위에 따라서 사리의 옳고 그름을 판단함 (甘 달다, 呑 삼키다, 苦 괴롭다, 吐 토하다) 불문곡직( 不問曲直 ) : 올고 그름을 따지지 아니함 ..